“왜 사람들은 예술가들은 특별하다고 생각하나요? 한낱 직업일 뿐인데요.” – 앤디 워홀 “Why do people think artists are special? […]
Bread Masters: A Cityscape with a Horn 빵장수가 제방소 앞 가판대에 서서 커다란 황소뿔피리를 불고 있다. 17세기 네덜란드의 […]
Was Donald Trump’s Blue Suit a Faux-pas? – Fashion Politics at the Pope Francisco’s Funeral 4월 26일 토요일, […]
Is Brown a Color of Economic Recession? 창조적 소비자들, DIY ·소셜커머스로 가성 소비 트렌드 창출 최신 패션과 뷰티 […]
Introducing Two New Books about K-beauty …
자기발견은 자기를 꾸밀 줄 아는 일에서 시작된다는 것 아세요? 꾸민다함은 꼭 남의 눈에 띄도록 요란한 치장이나 구하기 어려운 값비싼 옷, 장신구, 화장품을 써서 뽐내는 과시를 뜻하는 것이 아닌 것 잘 아시죠?
Fashion Rental Service on the Rise 패션업은 대기 오염과 지구 환경 파괴의 최대 주범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오늘날 […]
[박진아의 넥스트 패션테크] 미국 ‘포에버21’이 두 번째 파산 신청을 내고 3월 말까지 미국 시장 내 매장들을 철수할 것으로 […]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넘어 회복가능한 디자인으로 Design for Disasters ‘한반도 최근 역대 최대 규모 지진이 일어나 아수라장!’, ‘지진 안전지대라는 […]
[박진아의 넥스트 패션테크] AI가 생성하는 피드백과 결함 아직 많지만 디자이너 영감 촉매제로 사용될 수 있어 +++ 마케팅용 대화형 […]
[월간미술] 호모 라보란스 − 일 할 권리와 일 안할 권리
Review “In the meantime, midday comes around,” November 10th 2022 – May 1st, 2023 at Kunsthalle Wien| ‘Homo laborans -On the Right to Work or not to Work’ ‘, WOLGAN MISOOL, April 2023, no. 459
박진아의 『월간미술』 2023년 4월 호 (459호) 칼럼이 출간되었습니다.
이번 해외 리포트 칼럼 ‘⟪어느새 점심시간이 됐네⟫ 일 (안)할 권리에 관하여 - 호모 라보란스’에서는 마리엔탈 실직자 공동체 연구서에서 영감 받아 오스트리아 빈의 쿤스할레 빈(Kunsthalle Wien)이 기획한 특별전에 대한 관람기입니다.
과거로부터 인류 대다수는 생계를 위해 일을 했습니다. 정치적 스탠스와 라이프스타일의 다양화, AI 및 로봇 자동화에 따른 기술의 진보, 지정학적 불안과 이민이라는 21세기식 위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과연 미래의 인류는 꼭 생계를 위해 일을 해야할지, 일을 할 또는 안 할 선택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지, 그리고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일이라는 인간 필수적 활동은 어떤 의미를 지니며 미래에 어떤 양상으로 진화할지를 8인의 신진 현대 미술가들의 작품을 통해서 조명한 전시입니다.
Skinny Models Are Back! – Semiotics of Thinness 1월 17일 오스트리아 건설업계 대기업 창업자 후손 사업가가 알프스 휴양소에서 […]
The Social Economy of Balls – On the Ball Season in Austria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지난 3년 동안 […]
Lena Lapschina’s Eye EXHIBITION REVIEW WORLD REPORT | VIENNA Featured in WOLGAN MISOOL Monthly Art Magazine Seoul, Korea […]
GUSTAV KLIMT’S LANDSCAPES
올해[2002년]로부터 약 2년전인 2000년 가을, 오스트리아 빈에 자리한 갤러리 벨베데레에서는 《구스타브 클림트와 여인들》展이 열려 이곳 국내외 미술애호가들의 큰 관심을 끌었던 바 있다. 벨베데레 갤러리가 있는 벨베데레 궁은 오스트로-헝거리 제국 시절 1714-22년 무려 8년에 걸쳐서 사보이의 오이겐 왕자가 여름 별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은 바로크 양식 궁전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립 미술관으로 지정되었는데, 클림트를 비롯해서 에곤 쉴레, 리햐르트 게르스틀, 오스카 코코슈카 등 19-20세기 전환기 오스트리아 표현주의 화가들의 대표작들을 소장하고 있는 곳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곳이다.
Janus – The Two-faced God
한 해를 시작하는 관문 – 1월
1월은 오늘날 널리 쓰이는 양력 달력에서 한 해를 시작하는 첫 번째 달(mont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