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폴트 컬렉션 오스트리아 빈 레오폴트 재단 미술관

LEOPOLD MUSEUM – LEOPOLD COLLECTION

무지움스쿼르티에서 재개관 무지움스쿼르티에(MQ) 레오폴트 미술관 (Leopold Museum-Privatstiftung)
19세기말에서 20세기로 이행되던 시기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에서는 야릇한 분위기가 감돌고 있었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탄생하여 근대 지성계를 뒤흔들기 시작하는가 하면, 아놀드 쇤베르크의 근대 음악 이론, 아돌프 로오스 (Adolf Loos)와 오토 바그너 (Otto Wagner)의 유겐트스틸 (Jugendstil)의 근대 건축 양식이 등장하고 문학과 비판적 언론이 꽃을 피우고 있었다.

“세기말 빈 (Fin-de-Siècle)”로 일컬어지기도 하는 이 때는 지적 창조적 에너지가 곳곳에서 분출하던 빈 모더니즘 (Wiener moderne) 시대는 세기말 특유의 종말적 비관주의와 새시대에 대한 이상주의가 공존하던 시대였다. 19세기 산업혁명과 낭만주의로 향한 회귀적 욕망이 잔존하는 가운데 20세기 근대주의가 표방하는 개인주의가 충돌하던 이 시기, 오스트리아 빈의 근대 미술은 스캔들로 출발했다.

leopoldschileroom-300x222
레오폴트 미술관 내 실러 전시장 광경. © Leopold Museum, Wien. Photo courtesy: Leopold Museum – Sammlung Leopold, Wien.

19세기 후반기까지 줄곧 화려하고 장대한 바로크 회화 양식이 보편화되어 있던 빈에 장식적인 고전주의를 배격한 새로운 회화 양식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한스 마카르트를 위시로 하여 빈 분리파 운동 (Wiener Secession)을 이끈 구스타브 클림트, 오스트리아 표현주의 화가 에곤 쉴레와 오스카 코코시카 등이 외부 시대의 혼돈과 내면적인 감성과 갈등세계를 표현한 그 대표적인 화가들이다.

이는 같은 시기 파리에서 일던 상징주의, 독일과 북구 유럽의 표현주의 운동과도 맥을 함께하는 당대의 보편적인 사조이기도 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표현주의가 세계적인 미술사조로 정식 인정을 받기 시작한 때는 20세기 후반에 접어 든 이후, 한 개인 미술 수집가의 공헌이 크게 기여했다.

Whisper (Your Brands) in My Ear – ASMR Marketing Gets Personal

프랑스 디자이너 시몽 자크뮈스가 운영하는 자크뮈스(@jacquemus) 틱톡 계정에서패션쇼 초대 영상(THE SHOW INVITATION, “LES SCULPTURES” LIVE SHOW 29.01 – 12.PM- CET) 중 배우 크리스틴 베이비스가 출연한 ASMR 언박싱 영상 @kristindavis=TikTok

지금은 사라진 추억의 소리이지만, 옛날 우리나라의 농가 사람들은 마을 한밤중 멀리서 들려오는 다듬이질 소리, 아궁이 장작불 타는 소리, 리드미컬한 빗소리에서 나른한 안정과 평안을 느끼며 살았다고 한다.

이제까지 전통적 마케팅이 해오던 관행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소비자들의 은밀한 두뇌 속으로 밀착 침투해 들어오는 차세대 마케팅 기법이 주목받고 있다. … [중략] … 2024년 2월 19일 936호 [박진아의 글로벌 트렌드 14] 연재 기사 계속 읽기/Continue viewing my column [Global Trend 14] on Fashion Insight (bi-weekly) no. 936 publishing date February 19th 2024.

Who’s Leaving and Who’s Coming in 2024? – Fashion World’s Creative Directors

◇ 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임명 잇따라

2024년 새해를 앞둔 글로벌 명품업계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인사 개편에 한창이다.

지방시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매튜 윌리엄스(Matthew Williams, 미국)가 오는 2024년 1월부로 지난 3년 동안 지휘해 온 프랑스의 럭셔리 패션하우스 겸 향수 브랜드인 지방시를 떠난다. 설립된 지 70년된 파리 패션하우스 지방시(Givency, 1952년)는 매튜 윌리엄스 해임 후 아직 후임자를 발표하지 않은 상태이나 … [중략] … 2023년 12월 15일 934호 [박진아의 글로벌 트렌드 12] 연재 기사 계속 읽기/Continue to my column [Global Trend 12] on Fashion Insight (bi-weekly) no. 934 publishing date December 15th, 2023.

Is Quiet Luxury Really Quiet?

명품 소비 욕구로 전환시킨 창의성과 상혼의 승리

패션 언론과 소셜미디어에서 ‘조용한 럭셔리’가 한창 이슈다.

어휘에서 미뤄볼 수 있듯, #조용한 럭셔리(#quiet luxury)란 ‘요란한 럭셔리’의 반대 개념이 라 짐작된다. 가령, 누가 봐도 바로 알아차릴 수 있는 수입 고가 명품 브랜드의 시그니처 로고나 패턴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옷과 액세서리를 걸쳤거나 디자인이 내우 독특해서 주변인들의 시선을 끄는 차림을 한 사람은 요란한 럭셔리(loud luxury)를 연출했다 할 수 있겠다.

반면 이른바 조용한 럭셔리 소비자는 … [중략] …『패션인사이트』 2023년 11월 15일 933호 [박진아의 글로벌 트렌드 11] 연재 기사 계속 읽기/Continue to my column [Global Trend 09] on Fashion Insight (bi-weekly) no. 933 publishing date November 15th, 2023.

What Will LV Do?

패러디 디자인, 불법 짝퉁이 아닌 NEW 창조물

지금으로부터 5년 전인 2017년, 프랑스의 명품가 루이 뷔통(Louis Vuitton)이 미국  대법원에 저작권 항소 소송을 냈다.

이는 그보다 앞선 2014년, 루이 뷔통이 한 소규모 토트 에코백 제조사가 그 유명한 ‘LV’ 시그니처 숄더 백 고유의 로고 트레이드 마크와 디자인을 손상했다며 뉴욕 남부 지방법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나 무죄 판정이 내려진 데에 불복한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 최고 사법기관인 미 연방 대법원 역시도 이 에코백 업체의 제품은 법적 위반을 하지 않았다고 판결했다. … [중략] 『패션인사이트』 2023년 9월 15일 931호 [박진아의 글로벌 트렌드 09] 연재 기사 계속 읽기/Continue to my column [Global Trend 09] on Fashion Insight (bi-weekly) no. 931 publishing date September 15th,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