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 Fashion by Balenciaga 런던, 밀라노, 뉴욕, 파리에서 패션위크 행사 일정으로 들어찬 올 봄, 패션계는 인공지능(이하 AI)과 […]
Author: Jina
Super Mario Bros X Redwing Shoes — Storytelling Strategy
레드윙슈즈 × 슈퍼 마리오에서 배워보는 어패럴 스토리텔링 전략
패션인사이트 2023년 4월 1일 926호 [박진아의 글로벌 트렌드 04] 연재 기사 계속 읽기
New Form, Philosophical Living, Spectacular Perspectives … grounded in the Attitudes of Tradition, Craftsmanship, and Contemplation
Check out MARIO CASA LIVING COLLECTION 2023 or Download Lookbook
1980년대의 건축과 디자인 – 뉴아방가르드로서 포스트모더니즘 (제2편 – 디자인)
POSTMODERNISM AS NEW AVANT GARDES – Architecture and Design of the 1980′s (Part 2)
기능적인 건축은 자를 대고 그림을 그리는 일에 못지 않게 올바르지 못한 길이었음이 입증되었다. 장족의 발전 끝에 우리는 드디어 비실용적이고, 쓸모없고, 주거가 불가능한 건축으로 가까이 다가서고 있다… – 오스트리아 출신 생태 건축가 프리든스라이히 훈더트바서 (Friedensreich Hundertwasser)가 모더니즘에 대하여 남긴 평.
디자인은 창조적 혼란과 기발한 컨셉의 결정체 1980년대를 배경으로 활동하던 건축가들과 디자이너들은 흔히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정신을 가리켜서 ‚창조적 혼란 (creative chaos)’ 상태라고 표현하곤 했다. 1980년대는 자연 과학 분야에서 ‚카오스 이론 (Chaos Theory)’가 처음으로 발표되어 자연계에서 벌어지는 온갖 사건들 뒤에 숨은 무작위적인 연쇄적인 인과관계와 인간의 이해불능력을 정의한 시대였다.
고도로 발전을 거듭하면 거듭할 수록 미지(未知)의 영역은 점차 커져만 가고 있음을 시인하는 과학계가 그러할진대 디자인 예술 분야라 하여 사정은 그다지 다를수 없었다. 디자인 제품이란 반드시 기능적 구실을 수행하는 사물의 결정체여야 한다는 과거 모더니즘의 강령을 과감하게 내던지고 이제 디자인은 창조자의 기발한 착상, 독창적인 컨셉, 사회문화적 이념이 담긴 이념적 의사소통의 매개적 창조물이어야 한다는 새로운 의미를 띠기 시작했다.
[GLOBAL TREND 3] Global Luxury Beauty Brands Are Booming – Is It the ‘Lipstick Effect’? 패션산업을 보는 눈, […]
페테르 브뤼헐 ⟪야외에서의 결혼식 춤⟫ Pieter Bruegel the Elder, The Wedding Dance in the Open Air, c. 1566, […]
The Social Economy of Balls – On the Ball Season in Austria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지난 3년 동안 […]
[GLOBAL TREND 2] Body Shaper Wear 3.0 – There are more than Skims 2030년까지 성장세 전망 속 셰이프웨어 […]
Happy Valentine’s Day!
WOW Concept Store — Where Brick-and-mortar meets Digital 2023년 01월 25 일 발행 제 923호 [박진아의 글로벌 트렌드 […]
Happy New Year!
내가 아는 오스트리아인 구드룬 렘베르크(*사생활 보호 위한 가명 처리) 씨는 올해 예순두 살의 장년(長年) 여성이다. 2년 전 은퇴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