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Brow Meets Low Brow, Low Brow Meets High Brow

이미 1960년대말경부터 건축과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 불거져 나온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논쟁은 특히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일부 지성주의 엘리트 디자이너들과 이론가들의 예술적 실험정신과 극소수의 부유한 문화 엘리트들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이탈리아의 제품 디자인 업체 알레시(Alessi)를 비롯해서 가구 디자인 업체인 카시나(Cassina)와 카르텔(Kartell) 등은 1980년대부터 유명 건축가 및 디자이너들의 명성을 약싹빠르게 상업화시킨 이른바‚ 거장 시리즈’ 디자인 제품들을 개발해 지갑 사정이 좋은 중상층 시장에 크게 어필했다.

FROM ANARCHY TO AFFLUENCE

New York – 지금으로부터 약 25년 전, 1970년대 무렵 미국의 경제와 문화의 중심 도시 뉴욕에서는 1960년대말에 불어 닥친 반문화 정치 활동을 끝으로 전에 없이 새로운 전자 매체 혁명에 휩싸이기 시작했다. 1980년대 접어들자 미국은 국제 유류 파동과 그로 인한 경제 불황 중에서 로널드 레이건 공화당 대통령을 선출하여 보수주의적인 분위기로 몰입하기 시작했다. 공중파 케이블 텔레비젼을 통해서 MTV 방송국에서는 마이클 잭슨과 마돈나 같은 수퍼스타 연예인들이 미국 내는 물론 전세계의 팝음악 팬들을 사로잡고 있었다.

morsa_loftbed
모르사(Morsa)가 디자인한 로프트 침대. Photo ⓒ Dan Wynn, lent by Joan Kron.

이 즈음 뉴욕의 미술계도 전에 없이 새로운 이른바 ‘다운타운 문화’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뉴욕의 금싸라기 땅이자 예술 구역으로 자리잡은 이스트빌리지 (EastVillage)는 바로 그 뉴욕 다운타운 문화의 발상지이자 예술인과 보헤미언들의 창조적 실험실이어 왔다.

맨하탄의 로뤄 이스트 사이드 (Lower East Side) 구역 내 옛 물류 창고가 모여있던 이스트빌리지는 한때 집없는 거리부랑자들이 시위를 벌이고 범죄가 빈번하는 빈민가로서 높은 악명에 시달렸지만 그런 이유로 해서 아주 싼 임대료를 찾아 살러온 가난한 예술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점점 많은 예술인들이 이 옛 공업지대를 주거용 아파트로 삼기 시작하자 소호 구역에서는 일명 ‘로프트 임대법 (Loft Law)’이라는 부동산법이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저가 임대료를 모색하던 예술인들은 물론 미술 화랑업자들, 대중 음악가들,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이 동네를 급속도로 채워나가기 시작했고 이를 간파한 부동산업자들이 1980년대 부터 본격적으로 이스트빌리지를 예술인의 구역으로 홍보하면서 지가 상승을 부추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