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혼탁한 바깥 세상, 아늑하고 소박한 나만의 방으로 초대합니다.

BIEDERMEIER AESTHETICS AND THE MIDDLE CLASS

비더마이어 미학에 담긴 중산층 가정 실내 공간

amerling
프리드리히 폰 아메를링(Friedrich von Amerling)이 비더마이어 시대 낭만주의 풍으로 그린 『루돌프 폰 아르타버 내외와 자녀들 (Rudolf von Arthaber with his Children)』 가족초상화. Collection: Österreichische Galerie Belvedere, Wien. 제작연도 미상.

2층을 넘지 않는 나트막한 건물. 그에 걸맞게 아담한 크기로 길거리를 향해 나있는 유리창들. 건물 안을 들어서면 백색 회벽으로 깔끔하게 발린 벽과 좁은 듯한 계단. 현관 문을 들어서자 마자 웬만큼 키가 큰 사람이면 머리가 닿을듯 나트막한 천정. 좁게 느껴지는 실내지만 액자에 담긴 풍경화나 초상화가 나란히 거려 있는 사방벽과 자잔한 도자기 악세서리와 가구로 가득찬 거실 – 19세기초엽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검소하고 소박한 소시민이 살고 있을 전형적인 실내 공간이다.

형편이 어느정도 좋은 집이라면 거실에 피아노 한 대는 놓고 지낼테며, 대여섯명은 족히 될 한집안 온 식구가 한 자리에 앉아서 식사하고 담소를 나눌 수 있는 6-8인용 식탁과 의자들이 집안 한구석에 가지런히 놓여있을 것이다. 집안의 남자주인은 비서용 책상쯤 될듯 자그마한 책상 앞에 앉아서 만녈필로 편지를 쓰는 일로 시간을 보내고, 여염집 아낙네들은 시낭독이나 독서토론으로 한낮의 여가를 보낸다.

때는 낭만적인 가곡의 아버지 프란츠 슈베르트 (Franz Schubert)의 「아름다운 물레방아간 처녀 (Die Schöne Müllerin)」와 월츠의 황제 요한 스트라우스 (Johann Strauss)의 월츠가 소시민들의 서정적 감성을 자극하고 있었다. 빈에서 작곡활동중이던 말년의 베에토벤 (Ludwig van Beethoven)이 점점 청각을 상실해 가는 가운데 그 유명한 교향곡 제9번을 써내려가고 있는 사이, 독일의 문호 괴테 (Johann Wofgang von Goethe)는 이룰수 없는 사랑과 우수적 낭만을 문학으로 발산하고 있었는데 바로 이때가 비더마이어 시대 (1815-1848)였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엠파이어 양식 (Empire Style)이라고 부르는 프랑스의 건축 및 디자인 양식의 흔적은 지금도 오스트리아 빈의 골목 구석구석에 서있는 고풍 건물들에 마다 남아있다. 예컨대 사람머리와 사자몸을 한 스핑크스는 권력과 정복 (conquest), 풍성한 과일과 원뿔형 용기 (Cornupopia)는 풍요, 그리고 화환 (wreath)은 승리를 상징하는 장식 요소들이 되었다. 같은 시기에 영국에서는 리전시 양식 (Regency Style)이라고 불리는 유사한 신고전주의풍의 건축 및 실내장식이 유행하였다.

신흥 중산층 소시민을 위한 위안적 미학 귤이 바다를 건너면 탱자가 된다고 하였던가.  비더마이어 양식 (Biedermeier Style)은 19세기 전반기에 유럽 전역에서 비교적 동시에 등장했지만, 대중들 사이에서 유독 인기를 끌면서 널리 일반화된 곳은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과 같은 독어권 국가들에서였다. 오스트리아로 전파되어 온 프랑스 신고전주의는 작고 좁은 규모의 중산층 가정의 실내 환경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소화 응용되었다. 비더마이어 양식은 오스트리아, 특히 그 가운데에서도 수도 빈 (Wien)에서 살던 중산층 시민들로부터 크게 사랑 받았는데, 그 덕택에 지금도 이 도시에서는 옛 모습 그대로를 확인해 볼 수 있는 건축물들과 실내 장식용 가구 및 악세서리품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가 있다.

imetter001p1
오스트리아 빈 체제를 주도했던 메테르니히 재상의 초상.

여전히 미술사 속에서 비더마이어 양식은  그다지 예술성 높은 양식으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 본래 비더마이어란 빈에서 출간되던 신문 컬럼 속에 중산층 남성의 전형을 대변하며 등장하는 가상의  주인공 ‚고틀립 비더마이어 (Gottlieb Biedermeier)’의 이름에서 따 온 것으로서, 그가 지닌 중산층 소시민 특유의 근시안적이고 소박단순하며 사소한 성미를 우스꽝스럽게 풍자하려는 뜻을 담고 비롯되었다.

오스트리아 국립 베벨데레 갤러리의 게르베르크 프로들 (Gerbert Frodl) 관장에 따르면, 비더마이어는 „이전에 등장했던 바로크 양식이나 신고전주의 양식처럼 예술적인 양식이라기 보다는 가정의 테두리 속에 파묻힌 사적인 라이프스타일에 봉사하기 위한 생활 양식“이라고 표현된 바 있기도 하다.

메테르니히 정권 하 비더마이어 양식의 유행은 당시 절대주의 왕권과 귀족주의의 구체제가 서서히 붕괴하고 상공업의 부흥으로 탄생한 신흥 부르조아지 계층의 세력이 나날이 강성해져 감을 의미했다. 유럽의 황실과 귀족들이 허황과 과장으로 퇴폐와 몰락으로 치닫고 있을 즈음, 신흥 부르조아지들은 새롭게 축적한 부를 자기나름대로의 최향과 경제적 규모에 맞추어 꾸미고 싶어하는 욕구에 잔뜩 부풀어 있었다. 때마침, 이 시기 프랑스 나폴레옹의 유럽 정복 전투로부터 영향을 받아서 고대 이집트, 그리고, 로마 시대로부터 영감을 받은 신고전주의 (Neo-classicism) 양식도 비더마이어 양식에 영감의 원천이 되어 주었다.

p1020921_resize
19세기 빈에 살던 수많은 중산층 가정에 불어닥쳤던 비어마이어풍 인테리어. 사진은 빈 황실가구박물관에 재현되어 있는 비더마이어풍 가정의 실내 장식.

오스트리아의 클레멘즈 벤젤 폰 메테르니히 (Klemens Wenzel Lothar von Metternich)는 19세기 유럽에서 들끓어 오르던 시민 혁명을 억누르기 위한 억압 공포 정책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지배했던 정치가이자 유능한 전략가였다. 그의 정치적 수완은 오늘날까지도 수많은 정치외교학도들에게 교훈을 전하고 있지만, 디자인 예술 면에서는 소심하고 편협한 세계관을 남기고 말았다고 평가받는다.

그도 그럴것이, 우선 비더마이어가 탄생한 시기는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 경제적인 빈곤에서 고전하던 시기(1825-1835년)였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는 1814-5년 메테르니히 재상이 빈회의 (Congress of Vienna) 이후 오스트리아에 극보수주의 정권을 수립한 후였다. 메테르니히 재상의 초강력 정권은 오스트리아를 유럽 대륙의 강력한 세력국가의 하나로 재배치시키는데 공헌은 했지만 지나치게 억압적이고 보수적인 정치 철학은 문화 현상에도 여지없이 반영될 수 밖에 없었다.

1815부터 메티르니히 정권에 반대하며 일어난 1848년 민중 봉기에 이르기까지 30여년 동안 수많은 빈의 중산층 가정의 실내 환경을 꾸며준 비더마이어 양식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들은 무엇일까. 지금도 미술사와 건축사에서 비더마이어 양식은 미학적 연구면에서 가치가 떨어지거나 열등한 것으로 취급되어 왔던게 사실이다.

흔히 미학적인 방면에선 문외한이면서도 젠체하기 좋아하는 속물들을 위한 양식, 취향은 범속 스럽지만 웬만한 체면은 유지할 능력이 되는 중산층을 위한 소박한 양식, 독특한 사회적 의식은 없지만 기존 체제에 적절히 융합하는 것에 안도감을 느끼는 보수적이고 순응주의적인 사람들을 위한 양식이라는 정도로 취급되어 온 이 비더마이어는 특히 20세기 근대 예술가들 사이에서는 맹렬한 비난과 경멸의 대상이기도 했다. 20세기 근대미술의 초현실주의 화가 막스 에른스트 (Max Ernst)는 19-20세기 유럽이 시민사회로 이행하는 시대에 당시 급부상한 부르조아 가정의 실내 장식풍을 가리켜서 중산계층의 억압과 소외로 꽉 들어찬 ‚심리적 경련’을 유발한다고 비난할 정도였으니 말이다.

‘부르조아 사실주의 (Bourgeois Realism)’ 또는 ‘시적 사실주의 (Poetic Realism)’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는 비더마이어 양식과 문화는 중산층에서만 벌어진 특수 현상이었다. 그러나 비더마이어 양식의 주고객들이던 중산계층은 그들의 미학적 이상을 여전히 귀족 문화에서 찾으려 했다. 전형적인 비더마이어의 가정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황실이나 귀족들의 가정이나 가족들을 원형으로 삼아서 모방하려 애썼다.

liechtensteinmuseum-biedermeier2-li
페터 펜디 (Peter Fendi, 1796–1842) 『신중한 시녀 (Das vorsichtige Stubenmädchen)』 1834년.

왈츠의 황제 요한 스트라우스의 빈 월츠가 빈 시민들을 하나로 뭉치게 해준 국민 음악이 되어 곳곳에서 연주되고 있던 가운데, 비더마이어 양식은 메터르니히 시대의 가정을 아늑하게 꾸며주는 최신 유행 스타일이 되었다.

메터르니히 정권이 국수주의와 현상유지에 주력하는 정책을 펼치는데 심혈을 기울인 동안, 일반 시민들의 생활은 그에 따라 중산층 수준으로 발전했고 신흥 중산층민들은 가구와 장식물을 통해 상승하는 신분을 과시했다. 비더마이어 양식이 건축 보다는 실내 장식과 가구 분야에서 더 두각을 나타내게 된 것도 그 같은 연유 때문일게다.

이때부터 중산층 가정의 여성들은 집안에서 다양한 취미 활동을 즐긴다는 명목아래 가족이나 가까운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여 음악연주회, 시낭송회, 가창회 등과 같은 소소한 예술 활동을 즐기곤 했는데, 이같은 중산층 여성들 특유의 관행은 이후 20세기 근대로 이어지면서 살롱 문화 (Salon Culture)로 발전하는데 기여하기도 했다.

프랑스 문화와는 다르게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귀족계층과 중하층에 속하는 정부 관료나 국가 공무원들은 업무적으로나 일상생활 면에서나 서로 접촉하는 일이 거의 없는게 보통 관례였던 이유로 해서 귀족계층과 중산계층이 철저히 분리되어 있었던 당시의 정황을 고려해 볼 때 중산층들의 귀족주의 모방 태도는 사뭇 모순적이기도 하다.

비더마이어풍 실내 장식의 유행은 19세기 초엽 오스트리아에서 전개된 정치경제적 정황에서 빚어진 시대적 산물이었다. 구 귀족주의 체제의 붕괴와 부르조아지 혁명이라는 급집적인 권력 변화를 억누르기 위한 방침으로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 재상은 억압적인 정책을 펼쳐서 프랑스식 혁명 사상이 오스트리아에 유포되는 것을 막는데 주력했다. 얼마안가서 메테르니히 정권 하의 비더마이어 시대는 온갖 형태의 공공 사교 활동이나 집회 활동이 전면 금지되고 일반 시민들의 언행을 감시하는 비밀첩보원들로 들끓게 되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카페하우스나 클럽 같은 공공 장소에서 만날 수 없었고 오로지 집에 갇혀서 가족과 시간을 보내도록 강제로 명령 당하곤 했는데, 집안에 앉아 피아노를 치는 모습이라든가 식탁에 둘러 앉아 온가족이 카드놀이를 하는 이른바 ‚비더마이어 풍속화’가 널리 유행하며 여러 가정의 거실벽을 장식하게 된 것도 바로 그런 연유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wilhelm bendz_400
덴마크의 화가 빌헬름 벤츠 (Wilhelm Ferdinand Bendz)의 『 아말리에가데 가에서 생활하던 화가와 그의 형이 있는 실내 (Interior From Amaliegade With the Artist’s Brothers)』1829년 경. Courtesy: Hirschsprung Collection, Copenhagen.

이 시대 독일에서 유난히 유행하던 풍성하고 두꺼운 재질은 커튼용 직물이라든가 안락감과 푹신한 쿠션선감을 극대화한 직물 소파와 의자들이 속속 만들어진 것도 사적 공간으로부터 가정 실내로 떠몰린 이 시대의 소시민들에게 실내의 안락함을 더해주기 위한 디자인적 고안의 결과였다.

비더마이어 시대의 건축도 당시 외부세계의 살벌한 분위기를 반영해 준다. 주거용 건물들은 이전과는 달리 거리로부터 한발짝 뒤켠으로 물러나서 깊은 곳에 자리해 지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건물의 높이는 대체로 단층 또는 2층을 넘지 않는 천정이 낮고 작은 면적으로 지어졌다. 장황하고 장식성이 강한 이전 시기의 건축물들과는 대조적으로 비더마이어 건축물의 정면은 주로 작은 입구와 유리창 그리고 장식이 없이 밋밋한 회칠된 벽표면이 특징적이다.

외부 세계 혹은 타인과의 교류가 단절된 실내 공간 속에 갇힌 이 시대의 인간들이 종종 겪는 고독과 사회적 좌절감은 슈베르트의 가곡 「아름다운 물레방아간 처녀」에서 가슴절절한 애상 (elegy)으로 표현되었다. 실제로 슈베르트는 타고난 음악적 천재성에도 불구하고 시대적 제약 때문에 고뇌하다 단명한 비더마이어 시대의 한(恨)을 고스란히 살고 간 전형적인 인물이다.

동시대에 같은 분야에서 일하던 사람들끼리도 서로 이름만 들었을뿐 한 번도 만나지 않고 한평생을 사는 일도 비일비재했는데, 예컨대 베에토벤과 슈베르트는 빈에서 지금으로 치자면 차로 30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살았지만 생전 한 번도 서로 맞부딪친 적이 없었다는 사실은 음악사에서도 재미난 일화로 전해오고 있다. 타인에 대한 무관심, 가족이나 가정 속으로의 도피적 성향, 외부 환경의 역동에 대한 거부 등 아직까지도 오스트리아인들이 뿌리깊이 지니고 있는 보편적 정서는 바로 비더마이어 시대와 문화가 200년이 지난 지금까지 남긴 유산이다.

vonalt_alsergrundview-300x210
루돌프 폰 알트 (Rudolf von Alt)가 수채로 그린 『알저그룬트 교외 구역 풍경 (View of the Alsergrund Suburbs) 1872년 © Albertina, Vienna.

비더마이어 양식의 전형적인 원형은 고전적인 단순함 (classical simplicity)라고 정의할 수 있을텐데, 그래서 절제된 직선과 곡선으로 마무리된 모양새로 인해서 검소하고 소박한 분위기를 띄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양식으로 제작된 의자는 군더더기가 거의 없는 살짝 휘어진 다리 모양을 했으며, 소파는 적당히 굴린 팔걸이와 반복적인 패턴이 들어간 직물 업홀스터리를 넉넉하게 사용해 안락감을 선사했다.

소재로는 주로 마호가니목, 앵두나무, 배나무, 자작나무 같은 단단한 목재가 지닌 천연 무늬를 그대로 살려 사용하거나 얇은 베니어판으로 가공해 사용하되 광택 마감을 하고 여간해서는 금속 소재의 장식을 사용하는 법이 없다. 엄밀히 말하자면 비더마이어가 취한 양식적 특성은 프랑스 신고전주의 엠파이어 양식이 지닌 경직성에 약간의 곡선과 부분적인 무게를 주어 변형시킨 것과도 같다.

19세기 전반기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가로질러 전개된 비더마이어 양식의 생명은 그다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1848년 한 편의 거대한 혁명의 물결이 유럽 대륙을 휠쓸었고 오스트리아도 예외는 아니었다. 거센 민주주의 바람과 함께 유럽을 강타한 1848년 혁명은 억압적인 정치 권력과 빈곤을 면치 못하는 경제 상황에 못견딘 여러 북동 유럽 국가들이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를 주장하며 여러차례의 봉기로 폭발하고 말았던 것이다. 1848년은 유럽 혁명의 해였던 동시에 집 속 코쿠닝 (cocooning)에서 안락과 안일감에 빠져 있던 수많은 중산계층에게는 새로운 시대가 왔음을 알리는 요란한 자명종이었던 것이다.

* 이 글은 본래 LG 데코빌 사보 『공간사랑』 지 2005년 3월호에 실렸던 글임을 밝혀둡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