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기 위해 그림을 그린 그녀, 타마라 드 렘피카

Tamara de Lempicka, »The Beautiful Rafaëla (La belle Rafaëla)« 1927 © 2024 Tamara de Lempicka Estate, LLC / ADAGP, Paris / ARS, NY Banque d'Images, ADAGP / Art Resource, NY.

 

009
『병실에서 병회복중인 여인』 1932년 목판 위의 유화. 개인 소장© VBK, Wien, 2004.
There are no miracles. There is only what you make.” – Tamara de Lempicka
 

나른과 호색의 아름다움에서 헐리우드 글래머로 잠자리에서 방금 일어나 앉은듯 퀭하고 나른한 눈길의 여인. 값비싼 비단과 우단의 광채가 흐르는 외투 차림을 한 귀족 남성. 쇼울을 두르고 자욱한 담배 연기를 뿜으며 유혹하는 풍만과 에로스의 여인. 아르데코 미술을 거론하는 자리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여류 화가 타마라 드 렘피카 (Tamara de Lempicka)의 초상화는 최근 미술계와 컬렉터 사회에서 외면하고 지나칠 수 없는 미술 아이콘이다.코코 샤넬과 엘사 스키아파렐리가 재단한 파리 오띄 쿠튀르 의상을 완벽하게 차려 입고 1920년대 파리와 1930년대 LA와 뉴욕 사교계를 드나들었던 타마라 드 렘피카는 흡사 여배우 그레타 가르보 (Greta Garbo) 또는 마를레네 디트리히 (Marlene Dietrich)의 자매 격은 능히 되고도 남을 만큼 퍽 세련되고 현란한 외모를 자랑한 사교계 미녀이자 직업 화가였다.

나른한 눈매와 선홍색 립스틱으로 화장을 하고 초록색 부가티 자동차 안에 몸을 싣고 앉아 있는 여인은 바로 다름아닌 타마라 드 렘피카 그녀 자신의 모습이었다. 본래 독일 여성잡지 『디 다메 (Die Dame)』 誌의 표지 그림을 그려달라는 주문을 받아서 제작된 이 작품에서 고급 이탈리아制 부가티 (Bugatti) 스포츠카는 거칠 것 없이 전진하는 ‚스피드 (speed)’를 상징한다.

운전대를 쥐고 있는 주인공은 그 어떤 남성 배우자나 운전기사 없이도 홀로설 수 있는 독립된 여성상과 ‚여성 해방주의’를 거침없이 내뿜는다. 머리에 꽉 끼는 아르데코풍 에르메스 패션 모자와 긴 팔목 가죽 장갑으로 치장하고 화장기 짙은 매혹과 ‚글래머’를 한껏 발산하는 주인공의 초상은 1920년대 당시 여성들이 꿈꾸던 첨단 신여성상과 위험하지만 매혹적인 ‚팜므 파탈 (femme fatale)’ 이미지의 종합 결정판이다.

012
1920년대 끝물경 파리의 하이소사이어티에서 가장 인기있는 초상화가로 부와 명성을 거머쥐면서 본격적인 호가로서의 커리어를 굳히기 시작한 그녀가 자신감에 가득한 자신의 모습을 한 편의 초상화로 담은 1929년 완성작 『자화상』.

근대와 신여성, 럭셔리와 글래머, 극도로 세련되고 다듬어진 아름다움, 개인주의와 성해방이라는 서구 20세기 초엽의 신사고를 핵심 주제어로 삼고 구축된 타마라 데 렘 피카의 아르데코 미술 세계와 팜므 파탈 (femme fatale des Art Deco) 이미지들이 유명인들과 연예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끄는 이유는 어찌 보면 당연하다.

무대와 은막을 강타하는 화려한 조명과 반들거리는 광채, 다소 과장스럼게 드라마틱하리만큼 연출된 초상 주인공들의 표정과 제스쳐, 배우들 가슴속 깊숙이 자리잡은 부와 명성에 대한 야심 등은 1920-30년대 헐리우드 영화계에서 은막을 뒤흔든 스타들을 실제 삶과 영화 속 시나리오와 너무도 흡사하다. 타마라의 그림 속 주인공들은 부와 명성, 쾌락과 환상을 오가며 생활하는 사교계 유명인사와 인기 연예인 바로 그들의 자신의 자화상인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타라마 드 렘피카는 1930년대말에 독일 나치군을 침략을 피해서 – 그녀의 혈통은 부분적으로 유태계였기 때문이다 – LA로 이민을 온 이후로 그림그리기를 계속하던 중에 『어느 아름다운 근대식 아텔리에 (Un bel atelier moderne)』라는 단편 영화에 디바 여주인공으로 직접 연기하기까지 했다.

폴 포아레 (Paul Poiret) 가 제작한 영화 『비인도적인 (L’inhumaine)』(1923년), 아르데코 스타일 전형의 팜므파탈 여배우 그레타 가르보 (Greta Garbo)가 출연한 영화 『키스 (The Kiss)』(1929년), 루비 킬러 (Ruby Keeler)와 진저 로저스 (Ginger Rogers)가 출연한 뮤지컬 영화 『42번가 (42nd Street)』, 진저 로저스와 프레드 에스테어 (Fred Astaire) 주연의 뮤지컬 영화 『탑 햇 (Top Hat)』(1935년) 등은 모두 렘피카가 그림 속에 묘사했던 시대적 사고방식과 유행 감각이 영화 필름으로 재현된 대표작들이다.

그래서일까. 타마라 드 렘피카의 작품은 요즘들어 유독 구미의 유명인들 사이에서도 너나없이 한 점씩 갖고 싶어하는 인기 수집용 아이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헐리우드에서는 유명 배우 잭 니콜슨이 렘피카의 그림 한 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소문이 나 있다. 최근 미술품 수집에도 손을 뻗힌 팝음악계의 여왕벌 마돈나도 2점을, 미국의 패션 디자이너 도나 캐런이 한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독일출신의 패션 디자이너 볼프강 요옵도 최근 타마라 드 렘피카의 작품을 여러점 사들여 개인 미술품 컬렉션을 한층 더 부풀리고 있는 데 렘피카의 애호가라고 소문이 자자하다.

002
『가브리엘 콘스탄티노비치 대공작의 초상』 1926년경 그려진 유화로 높이 1미터가 넘는 (크기 116 x 65cm) 대작이다. 현재 미국 헐리우드 영화배우 잭 니콜슨의 개인 소장품이다. J. Nicholson, Beverly Hills, California © VBK, Wien, 2004.

서양 미술의 고전미와 감각적인 스타일은 20세기 근대인들 외에도 오늘날 현대인들의 눈에도 쉽게 친근감을 주는 대중적 위력을 발휘함을 입증하고 있다.

2004년초 영국 런던의 빅토리아 앤 앨버트 뮤지엄 (Victoria & Albert Museum, London)에서 큰 대중적 성공을 거뒀던 『아르데코 (Art Deco)』展은 곧 같은해 봄 미국 보스턴에 있는 파인 아트 뮤지엄 (Museum of Fine Arts Boston)으로 옮겨져서 다시 한 번 아르데코 미술에 대한 대중 관객들의 관심을 한껏 불지폈다.

20세기 양차 대전 사이 기간인 1920-30년대에 반짝 등장했다가 자취를 감춘 아르테코 미술 운동은 본래 파리와 뉴욕을 연결하며 유행한 실내 장식과 디자인 분야의 응용미술 운동이었지만, 정작 이 『아르테코』전을 통해서 새삼스럽게 대중 관객들이 그녀의 그림을 발굴하면서 아르데코 양식이 재각광을 받기 시작했다는 점도 흥미롭다.

아르데코 미술에 대한 대중 관객들의 관심을 반영하기나 하듯, 런던의 왕립 아카데미 미술관에서는 서둘러 미술 전시 사상 처음으로 타마라 데 렘피카의 개인전을 기획하여 [2004년] 5월 중순부터 8월말까지 전시로 부쳤고, 같은 전시는 작년[2004년] 가을 9월 중순부터 빈으로 옮겨져서 올해[2005년] 1월초까지 순회전을 계속한다.

화려, 낭만, 퇴폐, 드라마로 그득한 그녀의 작품 세계 못지않게 여류 화가 드 렘피카의 예술 한평생도 한 편의 드라마였다. 퇴폐와 쾌락의 화신에서 가부장적 체체로부터 해방된 신여성으로서 격변하는 시대의 퍼르소나를 인생으로 연기하며 파리의 보헤미풍 낭만과 헐리우드식 글래머가 구현된 영화 같은 예술 인생을 살았다.

기록에 따르면 신비의 여인 타마라 데 렘피카는 마리아 고르스카 (Maria Górska)라는 이름으로 1898년 모스코바에서 돈많은 폴란드인 어머니와 러시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하는데 그녀의 정확한 생년월일과 출생도시(그녀가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에 대한 진실은 다소 분분한채로 남아 있다.

근대 전환기 러시아 상류사회의 부유하고 귀족적인 분위기에서 성장한 덕분에 타마라는 일찍이 어린 시절부터 자신감 넘치고 당당한 성격의 주인공으로서 러시아 상류사회에서 사교적 재능을 발휘하기 시작했으며, 14세라는 어린 나이에 타데우즈 렘피키 (Tadeusz Lempicki)라는 이름의 귀족 청년과 사랑에 빠져 결혼의 서약을 맺기에 이른다.

003
『핑크 드레스』 1927년도 유화작품. Caroline Hirsch 소장 © VBK, Wien, 2004.

얄굳은 근대 역사의 흐름은 갓 결혼한 렘피카 부부가 신혼의 단꿈을 채 맛보기 시작할 무렵 두 사람을 러시아로부터 몰아냈다. 때는 1912년 짜르 귀족 체제가 전면 몰락한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기, 귀족 상류계층 출신이라는 이유로 렘피카 부부는 어린딸 키제트 (Kizette)를 데리고 1919년에 프랑스 파리로 망명했다.

변호사 남편이 새 보금자리인 파리에서 일자리을 찾지 못한채 고전을 계속하며 심각한 생계의 위기에 내몰린 타마라 드 렘피카는 어린 시절 깊숙이 감춰 두고 있던 미술에 대한 열정을 되살려 직업 화가업을 생계 수단으로 삼기로 결심한다.

상류층 사교계로 재진입하고 싶어했던 그녀의 사회적 지위욕 때문이었든 아니면 임박한 생계 위기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임기응변력 때문이었든, 이렇게 직업적 화가로서 첫 발을 내디디게 된 타마라 드 렘피카의 출발은 성공적이었던 듯하다. 먼 훗날 딸 키제트의 회고에 따르면, 어머니 타마라는 ‚킬러의 본능’으로 직업 화가로서 또 파리 사교계 인사로서 맹렬하게 사회활동에 임했다고 한다.

직업적 화가로 인생을 개척하자고 결심한 타마라가 처음부터 겨냥한 목표 의식은 처음부터 분명했다. 화려하고 풍족했던 성장 경험, 어린 시절 이탈리아에 했던 그랑투어 미술 여행, 광채와 화려로 가득한 부유층 사교계에 대한 친숙함 등은 그녀가 아르테코풍 그림 그리기로 뛰어드는데 유익한 배경이 돼주었다.

001
『에리스토프 왕자의 초상』 1925년도작 유화, 65 x 92cm. Courtesy: Barry Friedman Ltd. New York 개인 소장품 © VBK, Wien, 2004.

파리에 당도해서 얼마 되지 않아서 그녀는 그랑드 쇼미에르 미술 아카데미 (Adadémie de la Grande Chaumière)에 입학하여 이탈리아 르네상스풍 그림을 열심히 관찰하여 배끼는 수업에 착수했다. 이 때 상징주의파 화가 모리스 드니(Maurice Denis)에게 사사하면서 당시 고갱을 위시로 해 유행하던 상징주의와 색면주의풍 그림을 배웠다.

그러나 결국 타마라가 이 엄격하고 완벽주의자로 정평 높던 스승 모리스 드니로부터 1년 동안 배운 결과 얻은 것은 그림 양식 보다 그림그리기 작업 과정이 요하는 자기 규율과 완벽주의적 태도였다고 한다.

그렇다면 타마라 드 렘피카가 그녀 특유의 영화 속 조명 아래 반짝이는 은막의 배우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하는 초상화 세계를 구축하도록 지도한 스승은 누구였을까? 그는 바로 20세기초 파리에서 화가 겸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던 앙드레 로테 (André Llote)였다. 오늘날 일반 대중에게는 낯설은 이름이지만 당시 20세기 전반기 서양 근대 미술을 중심지인 파리에서 앞다투어 실험되던 온갖 미술 사조와 유행을 손바닥 처럼 알고 있던 로테는 타마라가 파리 상류층 미술 애호가들과 사교계 인사들의 입맛에 맞는 그림 양식을 찾아내는데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

무엇보다 타마라는 로테의 아텔리에에서 사사를 받고 있던 때는 바로 20세기 미술의 거장인 피카소가 피사체를 수많은 정방형 형상으로 분해해석하여 그리는 이른바 ‚종합적 큐비즘 (synthetic cubism)’을 한창 실험하고 있던 시기이기도 했다. 유행이 유행었던 만큼 타마라는 그녀가 그리기 좋아하는 고전주의풍 여성 누드 그림을 피카소식 큐비즘 양식과 섞어서 그려보기도 했는데, 예상대로 사교계와 부유층 그림 고객들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004
『꿈』 캔버스에 유화 그림 1927년도 작. 뉴욕 Toni Schulman 소장품 © VBK, Wien, 2004.

타마라 드 렘피카가 여성 누드를 주로 그리기로 결정하게 된 데에는 당시 1920년대 파리의 퇴폐문화의 유행에도 눈설미 있게 적절히 응한 결과였다. 때는 파리에서는 최초로 흑인 여성 무용가 조세핀 베이커 (Josephine Baker)가 바나나 껍질로 만든 스커트를 입고 무대에서 춤을 추면서 아프리카의 여성의 이국적 에로티즘과 원시주의를 발산하며 근대 미술가들의 영감을 자극할 때였다.

또 그런가 하면 대서양해 건너 미국 뉴욕에서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같은 아르데코 양식의 초고층 마천루 건물들이 속속 들어서가는 가운데 도시적 섹스 판타지와 시크함이 건축과 실내장식 미술로 급격하게 번지고 있었다.

실제로 그녀는 예술과 낭만의 파리 레프트뱅크에 살면서 무기력과 생활고에 찌든 남편을 뒤로 한채 파리 상류사회에서의 사교와 동성애에 잔뜩 탐닉하는 것으로써 현실로부터 도피를 시도하기도 했다. 이런 배경 속에서 탄생한 프랑스 신고전주의 화가 앵그르의 19세기풍 그림 『터어키 탕』을 본따서 아르데코풍으로 재해석한 여성 집단 누드화는 파리 부르조아들 사이에서 드높은 인기를 끌었다.

자신이 그린 초상화 속 미인들에 못지 않게 그녀 자신 늘씬한 곡선미와 화려한 화장과 옷차림을 한 아르데코풍 디바 겸 욕망의 여신으로 사교계에 등장하길 좋아했던 적극적인 자기PR가 타마라 드 렘피카. 그렇다고 해서 이 섹스와 욕망의 화신이 밤인생과 파티 세계 만을 주름잡은 방탕녀였기만 했으리라 상상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다. 실은 그녀는 스승 모리스 드니의 가르침을 잊지 않고 하루 평균 9시간 이상을 아텔리에에서 그림그리는 일에만 몰두했던 일중독자였기로 유명했다.

그녀는 당시 파리 여러 소규모 개인 화랑은 물론 페미니즘 성향의 파리 근대 여성 화가 살롱과 밀라노의 개인전 출품을 위해서 작업에 열중했다. 그같은 전시 발표 기회를 통해서 사교계에 발을 넓히고 자신의 그림을 주문해 줄 후원자를 찾는 일은 열심히 그림을 그리는 일에 못지 않은 중대한 생계 전략이었던 때문이다. 어려운 파리로 이민온 후 실질적인 가장이 된 그녀의 입장에서 그림그리는 일은 예술로 여가를 삼은 낭만과 자기성취의 취미활동이 아니라 생계 유지라는 보다 절박하고 실용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직업활동이었음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008
『백합꽃이 있는 아를레트 부카르의 사진』 베니어 합판 위에 유화 그림 1930년작. 이 작품은 독일출신의 유명 패션 디자이너인 볼프강 요옵이 소장하고 있다. Sammlung Wolfgang Joop © VBK, Wien, 2004.

하늘은 무심하시지 않았는지 곧 렘피카의 가차없이 맹렬한 직업 활동은 얼마안가서 부와 명성이라는 댓가로 확인되기 시작했다. 그녀는 잦아드는 상류층 인사들의 초상화 주문으로 바빠졌지만 덕분에 그로 모은 돈으로 파리 예술인 구역에 저택 아파트를 살 수 있을 만큼 돈을 모았다.

파리의 유명한 내과 의사 피에르 부카르 (Pierre Boucard) 박사는 온 가족의 개인 초상화를 포함해서 타마라가 즐겨 그렸던 레즈비언풍의 집단 여성누드화를 무더기로 주문했다. 또 독일 귀족 퓌르스텐베르크-에르드린겐 백작은 타마라의 손을 빌어 프랑스 해군 복장과 베레 차림의 초상화를 그려 사갔다.

그런가하면 사교, 소비, 향락을 존재이 이유로 삼고 살던 구시대 귀족들은 스스로를 조롱하는듯 표현한 화가의 풍자적 시각을 내심 좋아했던 것 같다. 러시아 짜르 왕가의 사촌뻘 귀족인 가브리엘 콘스탄티노비치 대공작도 군복 차림을 한채 세상없이 공허하고 냉소적인 표정으로 망연히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핑크 드레스를 입고 포즈를 취하고 있는 프랑스 귀족 로마나 데 라 쌀르 공작 부인의 초상화도 특유의 위풍장대한 초대형 규모의 캔버스 위에 주인공 특유의 권위 의식과 생에 대한 씁쓸함이 교묘히 교차한 모습으로 표현된 특이작이다.

그녀는 우선 특유의 적극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성격을 한껏 발동시켜서 그림 모델에서 부터 상류층 사교계 남성들에 이르기까지 남녀를 불문하고 상대를 애인으로 만드는데 천부적인 재능을 발휘한 마력의 여성이었다고 널리 알려져 있었다.

005
『로마나 드 라 쌀르 공작부인의 초상』 1928년도 유화작품. Sammlung Wolfgang Joop © VBK, Wien, 2004.

1929년 남편 타데우즈와 이혼한 후, 타마라는 머리끝부터 팔목까지 휘황찬란하고 요란한 보석과 장신구로 꾸미고 파티장에 등장하곤 했는데 그러는 가운데 파리에 모인 여러 유럽 아방가르드 미술계 남성들을 하나둘씩 점령해 나갔다.

이탈리아 미래주의파 화가인 마리네티, 프랑스의 지성인 겸 미술인 쟝 콕토, 이탈리아의 귀족 사교가인 가브리엘 다눈초는 하나같이 타마라의 매혹적인 마력에 무릎을 꿇었던 그런 남성들이었다.

사교계 연인 나탈리 바니가 운영하던 여성 동성애자 클럽을 즐겨 드나드는 단골 마담 역할을 했으며, 프랑스의 문호 앙드레 지드와는 마약을 나눠 쓸 정도로 절친한 사이였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런가하며, 그녀가 자신의 여성 초상화의 모델로 세웠던 라파엘라라는 아름다운 젊은 여성은 한 늦은밤 타마라가 밤거리를 배회하다가 유혹한 거리의 여인이었다.

몰락해가는 구시대 귀족들과 상류 부르조아들의 취향에 봉사하는 사랑받는 초상화가로서 그리고 독립적인 미술가 커리어를 개척하는 자유로운 신여성으로서의 인생을 한껏 누리던 렘피카는 파리에서의 어느 한 파티에서 오스트리아에서 온 한 열렬한 팬이자 컬렉터를 만나게 된다. 1933년 35세라는 나이로 그녀는 곧 20세 연상의 이 귀족 출신 라울 쿠프너 남작과 생의 두번째 결혼식을 올린다.

그러나 어쩐지 그 후로부터 근 5년간 이유를 알 수 없는 심한 우울증에 걸려 정신과 병원과 요양원을 드나드는데 바빴고 여간해서 다시 그림붓을 잡지 못하고 만다.

귀족과의 결혼과 안정은 그녀를 움직이게 하던 힘 즉, 상류사회의 남성들, 젊고 매력적인 레즈비언 여성들, 화려한 파티장과 환락의 나이트클럽을 오가는 쾌락과 자유의 세계를 뒤로 해야 했던 데에서 오는 무기력함과 방향상실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1938년 한겨울, 오스트리아의 한 한적한 휴양지에서 남편과 아침식사를 하던 타마라는 독일 나치군과 히틀러 청년단의 행진소리를 듣고 이내 미국으로의 이민을 결심했다.

007
『전화 II』 목판 위에 유화 그림으로 1930년대에 그려졌다. 패션 디자이너 볼프강 요옵의 개인 소장품. Sammlung Wolfgang Joop © VBK, Wien, 2004.

미국 LA 베벌리힐즈에서 머물던 타마라 드 렘피카는 파리 시절의 명성을 되살려 수많은 헐리우드 배우들을 모델 삼은 초상화를 다시 그리기 시작했다. 제2차 대전이 한창이던 1940년대에 뉴욕으로 보금자리를 옮긴 타마라는 한동안 잭슨 폴록과 윌렘 드 쿠닝을 위시로 한 추상표현주의 미술에 감명을 받고 1960년대에와서 한동안 고무 주걱으로 추상 회화 그리기를 시도해 보았지만 그녀를 정작 유명하게 해주었던 아르데코풍 회화의 성과나 예술적 완성도에는 감히 미치질 못했다. 타마라 드 렘피카는 추상 화가가 아니었다.

정녕 그녀가 정통했던 것은 저물어 가는 계급체제를 자조하던 귀족들의 냉소와 공허, 부유층 특유의 음탕한 눈초리와 거만한 태도, 철없고 젊은 여인네들의 자기도취 섞인 시선을 한 편의 캔버스로 차갑게 얼어붙은 듯한 그녀만의 조형 언어로 승화시키는 초상화를 붓끝으로 그려내는 일이 아니었던가.

시대의 파란과 인간의 만 가지 욕망은 한낯 덧없는 먼지와 같다고 말하려는 듯, 타마라 드 렘피카는 파리에서의 찬란했던 초상화가 시대로 영영 다시 돌아가지 못한채 훗날 멕시코의 한 작은 고을에서 92세라는 나이로 한 줌의 재가 되어 자연으로 귀의했다. Photos courtesy: Kunstforum Wien.

* 이 글은 본래 『HAUTE』 지 2005년 1월호 아트뉴스 컬럼에 실렸던 것을 다시 게재하는 것임을 밝혀둡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