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컬쳐

함께 식사하기

프레데릭 코트먼의 회화 ⟨가족의 일원(One of the Family)⟩은 다름아닌 활짝 열린 창문을 통해 머리를 들이밀고 있는 백마를 가리킨다. 일가족이 모인 이 방에는 저녁 햇살의 따스하고 평화로운 빛이 감돈다. 화면 오른켠, 가장으로 보이는 흐뭇한 표정을 한 남성은 막 귀가해 옷걸이에 소지품을 걸고 있다. 아버지가 돌아올 시간에 맞춰 이 가족은 벌써 식사를 시작했다. 맏아들이 접시 위 파이를…Read more

빵이 있는 풍경

빵장수가 제방소 앞 가판대에 서서 커다란 황소뿔피리를 불고 있다. 17세기 네덜란드의 빵장수들은 뿔피리를 요란하게 불어서 갓 구어져 나온 신선한 빵을 사가라고 장터 손님들에게 알렸다. 제빵작업소는 화덕으로 인해 인근 건물에 화재의 위험 요인으로 여겨져서 제빵사 가족은 석조 건물에서만 거주하며 빵가게를 운영할 수 있었는데, 이 그림을 액자처럼 둘러싸고 있는 건축이 이를 반영한다. 선홍색 빨강색 웃옷 밑에 받쳐…Read more

겨울 풍경

추운 겨울철 어느날 공원 내 야외 빙상장에서 사람들이 스케이트 타기를 하고 있다. 하늘은 구름이 낮게 깔려 마치 먹구름이 낀듯한 전형적인 알프스 이북 유럽의 우중충한 잿빛이다. 화면의 후경 양옆에는 나무숲이 펼쳐져 있고 그 사이에는 공원 카페 겸 레스토랑으로 보이는 건물이 서있다. 폭설 후 추운 날들이 계속됐는지 건물의 지붕 위에는 눈이 솜뭉치처럼 수북하고, 벽돌 굴뚝은 난방과 요리로…Read more

[월간미술] 지난 30년 미술관 경영 시대 마감

박진아의 월간미술 2021년 10월 호 (441호) 칼럼이 출간되었습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전대미문의 도전과 새로운 가능성 사이에 놓인 미술계를 해외의 미술기관들과 문화정책 사례를 통해 점거해 본 기사입니다. 기사를 읽기 원하시는 분은 월간미술 2021년 10월호를 구입하시거나 월간미술 Artshop에서 정기구독을 신청하시면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디자인정글] 우리가 봄청소를 해야 하는 이유

잘 비우기에서 찾는 기쁨 ‘집안을 정리하여 혼란을 몰아내면 행복을 되찾고 상한 마음을 치유할 수 있다’는 복음을 전파하는 일본 정리 컨설턴트 곤도 마리에(Marie Kondo)가 미국과 유럽에서 선풍적 인기다. 정리정돈에 대한 책 4권의 세계적 베스트셀러 저자이자 넷플릭스 시리즈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Tidying Up with Marie Kondo)>의 사회자로 등장해 사람들의 집 정리를 도와주고, ‘곤마리 사단’이라는 제자들을 배출하고 있을 정도다….Read more

봄은 2월에 시작된다.

성 발렌타인스 데이에 담긴 2월의 의미 Februalia – The Origin of St. Valentine’s Day 2월에 접어든 우리나라는 전국이 영하 온도의 한겨울 추위가 맹위를 떨치는 때인데 음력달력은 올해 경자년(庚子年) 2월 4일이 절기상 입춘(立春)이다. 그로부터 며칠 후는 음력 1월 15일 정월 대보름은 음력으로 설날이 지나고 새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로서 풍년과 다산을 기원하는 놀이와 축제를 벌인다. 매년…Read more

[디자인정글] 옷으로 말해요.

패션은 ‘입을 수 있는 글자’ Text-based Clothings as ‘Wearable Fashion’ 패션과 장신구를 사회문화 현상을 읽고 해석할 수 있는 기호라 봤던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는 저서 <패션 시스템(Système de la mode)>(1967년)과 월간 패션지 『르자르댕데모드(Le Jardin des Modes)』의 한 기고문에서 “패션이란 사물이 아닌 브랜드가 만든 욕망, 브랜드가 표방하는 ‘꿈’이 아닌 기저에 깔린 ‘의미’를 파는 비즈니스”라고 했다. 바르트가…Read more

[디자인정글] 공상과학 미학의 아버지를 찾아서

미래 공상과학 미학의 아버지를 찾아서_ 시드 미드의 ‘시각적 미래주의’ 2019년 로스앤젤레스, 대기업 자본주의의 피라미드 구조가 지배하는 이 도시의 스카이라인은 수많은 네온 간판과 광고 영상 빌보드로 뒤덮인 초고층 건물들로 수 놓여 있다. 하늘은 일 년 내내 걷히지 않는 스모그 구름으로 뒤덮혀 어둑하고 지구황폐화로 인한 극심한 대기오염이 낳은 산성비 때문에 대기는 늘 축축하다. 거리와 빌딩 표면에 고인…Read more

[디자인정글] 꽃단장한 반려동물 패션에 깃든 소비자 심리

[스토리×디자인] 펫 디자인, 인간의 내면 욕망에 숨은 또다른 표출 통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는 계속 늘고 있다. 다양한 크기, 종, 서식 습성의 동물들이 인간과 함께 살아가지만 단연 가장 인기 높은 반려동물종은 개와 고양이다. 개의 덕목은 주인을 향한 물불 가리지 않는 ‘충성’과 ‘지조’, 고양이의 미덕은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아름다움’과 ‘신비’의 매력이다.개인화·원자화되어가는 생활 속에서 현대인은 인간관계에서 채…Read more

[디자인정글] 접촉 금지!

[스토리×디자인] 접촉 금지! – ’사회적 거리두기’의 문화사 지금으로부터 170년 전,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르 쇼펜하우어는 주변 사람들이 그에게 해를 끼칠 짓을 할지 모른다는 의심과 불안감 속에서 살았다고 한다. 또한 인간은 타인에 의지하며 살아야 하는 사회적인 동물이지만 동시에 관계가 지나치게 허물없이 친밀해지면 애착을 형성해 심적 상처의 원인이 된다고 봤는데, 그 같은 인간관계의 진퇴양난적 본질을 그는 ‘고슴도치의 딜레마’로…Read more

[디자인정글] 디자인으로 발산된 동물 영혼

디자인은 동물로부터 영감받는다. 귀엽고 사랑스러운 개와 익살, 장난, 애교를 부리는 고양이 영상을 전 세계와 공유하는 요즘 현대인들의 동물에 대한 시각과 대우도 과거에 비해 참 많이 달라졌다. 얼마 전까지 우리나라에서 개는 집 지키기를 하고 도살되면 유용한 음식재료로, 고양이는 야밤에 오가는 도둑고양이와 다름없는 반야생 가축으로써 집 바깥에 두고 키웠다.

[녹색경제신문] 테슬라 사이버트럭은 왜 그렇게 생겼을까?

“우리는 인류 멸망의 시대 테크놀러지 리더가 되기를 원한다.(WE WANT TO BE A LEADER IN APOCALYPSE TECHNOLOGY)”  –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이 방탄차로 디자인된 이유에 대한 제이 레노의 질문에 대한 일런 머스크의 대답.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디자인 미학에 대하여 녹색경제신문 2020년 2월 6일 자 기사 읽기 ☞

[디자인정글] 2020년 우리는 왜 다시 후드티를 입나

[스토리 ⨉ 디자인] 컬쳐 | 리뷰 연재 누가 뭐라 해도 후드티(Hoodie)는 이제 가장 트렌디한 머스트해브 아이템(must-have item)으로, 옷장에 한두 장쯤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이 없을 만큼 현대 패션의 한 가운데로 들어온 패션 품목이다. 코로나19 사태로 막대한 글로벌 공급망과 매출 타격에도 불구하고 패션업계의 전반은 스트리트 패션(street fashion)이 주류 패션 시장을 이끄는 가장 큰 성장 동력 역할이…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