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가로서 화가의 자화상 – 알브레히트 뒤러

ALBRECHT DŰRER Portrait of the Artist as an Entrepreneur

독일 르네상스 미술의 거장 알브레히트 뒤러

Dürer's 〈Melencolia I〉 is one of three large prints of 1513–14 known as his Meisterstiche (master engravings). The other two are 〈Knight, Death, and the Devil〉 and 〈Saint Jerome in His Study〉. Though they do not form a series in the strict sense, the prints do correspond to the three kinds of virtue in medieval scholasticism—moral, theological, and intellectual—and they embody the complexity of Dürer's conception. Albrecht Dürer (1471–1528), Melencolia I, 1514. Engraving, 9 1/2 x 7 3/8 in. (24 x 18.5 cm) Harris Brisbane Dick Fund, 1943.
Dürer’s 〈Melencolia I〉 is one of three large prints of 1513–14 known as his Meisterstiche (master engravings). The other two are 〈Knight, Death, and the Devil〉 and 〈Saint Jerome in His Study〉. Though they do not form a series in the strict sense, the prints do correspond to the three kinds of virtue in medieval scholasticism—moral, theological, and intellectual—and they embody the complexity of Dürer’s conception. Albrecht Dürer (1471–1528), Melencolia I, 1514. Engraving, 9 1/2 x 7 3/8 in. (24 x 18.5 cm) Harris Brisbane Dick Fund, 1943.

올해 2014년은 독일 르네상스의 거장 화가 겸 도제사 알브레히트 뒤러(1471–1528)가 그의 걸작 판화작품중 하나인 『멜랑콜리아 I』(1514년)을 완성한지 500주년이 되는 해다. 뒤러의 멜랑콜리아 I은 『기사, 죽음, 악마』와 『서재에 앉아있는 성 제롬』과 더불어 1513-14년에 완성한 대형 판화 3부작중 한 작품으로, 중세 유럽에서 3대 미덕으로 꼽히던 도덕적, 신학적, 지적 학구주의를  상징한다.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가란 이 세 가지 미덕을 갖춘 교양과 소양있는 자로서 그가 창의적 결과물을 창조하기까지는 영혼적 고뇌와 정신적 우울증이라는 창조의 고통도 감내해야 함을 상징하고 있다.  Image credit: 〈Melencolia I〉 1514. Engraving, 9 1/2 x 7 3/8 in. (24 x 18.5 cm) Harris Brisbane Dick Fund, 1943.

05_Duerer_Selbstbildnis-1498-Prado_sm-234x300
28세때의 자화상. 목판에 유화 1498년작. 스페인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소장. Photo: Museo Nacional del Prado, Madrid.

21세기 블럭버스터 화가로 둔갑한 독일 르네상스 미술의 대가
흔히들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의 대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는 익히 잘 알려져 있는 반면, 알브레히트 뒤러라는 이름은 어딘지 낯설게 느껴지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 짐작된다. 하지만 서구에서 사정은 많이 다르다. 서양인들에게 뒤러는 미술의 역사에서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늘 함께 하는 화가로서 그들의 머리와 가슴에 깊이 자리잡아 온 지 오래다. 특히 알프스 산맥 이북 지방에 자리해 있는 북부 유럽권에서는 더 그렇다.

뒤러의 그 유명한 『들토끼』 드로잉은 어린이들과 중고등 학생들의 미술 교과서에 빠지지 않고 등장해 온 단골 삽화이며, 교회 용품점에 들어서면 어김없이 뒤러의 『기도하는 손』 그림이 포스터, 열쇄 고리, 책표지, 벽걸이 그림으로 대량 복사되어 오늘날 전지구상의 기독교인들게 팔려나가고 있다.

‚서양 최초의 국제적인 미술가’ ‚서양미술 최초의 적극적인 자기 PR가, ‚현란한 아이디어맨이자 환상적인 상상가’ – 이런 사족스런 별명들 이외에도 흔히 서양 미술사에서는 알브레히트 뒤러 (Albrecht Dürer, 1471-1528)를 두고 혁신가 (innovator)라고 일컫는다. 뭔가 남들과 다른 새로운 업적을 남겼기 때문에 그런 명칭을 얻었음이 분명하다.

13세 때의 자화상(Self-portrait), silverpoint drawing by the thirteen-year-old Dürer, 1484.
13세 난 소년 알브레히트 뒤러의 자화상 스케치, 1484년. 종이에 은필(銀筆), 27.5 x 19.6 cm, © Albertina, Vienna. Photo: Albertina, Vienna.

알브레히트 뒤러는 유럽이 중세와 르네상스를 이행하는 15-16세기 전환기에 살았다. 독일로 이민 온 금속장인의 헝거리 2세 출신일 지언정 뒤러는 정신적인 면에서는 일찌기 이탈리아 여행을 통해 르네상스 인문주의를 접하고 학식을 쌓은 선진적인 사고의 지성인이었으며, 미술면에서는 북이탈리아에서 만난 만테냐(Andrea Mategna)와 벨리니(Giovanni Bellini)로부터 영향을 받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를 이상적인 미술가의 전형으로 본받았다.

오늘날 선진 학문을 하러 외국으로 유학을 가듯, 뒤러는 당시 르네상스 미술의 발상지 이탈리아로 두 차례 여행하면서 르네상스 원근법과 비례법을 배워 온 신문물의 전달자이기도 했다.

뒤러가 최우상으로 삼았던 미술가이자 정신적 스승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였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뒤러는 자연에 대한 면밀한 관찰력을 스케치 습작으로 옮기는 버릇, 시대를 앞서간 창조적 발상력을 발휘했다.

일찌기 뒤러는 어린 시절부터 스스로의 천재성을 자각하고 13세의 나이로 처음 자화상을 그려낸 조숙성을 발휘했다. 당시 화가들이 생각지도 않던 화가 스스로의 모습 그리기를 최초로 시작한 이른바 자화상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북구 유럽 미술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화가의 자화상 연구가 뒤러의 자화상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일테다. 게다가 당시 화가들이 소수의 귀족 후원자들의 주문에 의존해 작품을 제작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방식에서 과감히 탈피하고 자기가 제작한 판화 그림을 대량 생산해 직접 시장에 내다 판 그의 획기적인 비스니스맨쉽은 ‚미술은 비즈니스다’라고 떵떵댔던 팝아트의 큰아버지 앤디 워홀 (Andy Warhol)보다 500년이나 앞선 셈이다.

01_Duerer_Feldhase_sm-273x300
알브레히트 뒤러, 들토끼 수채화 1502년작 빈 알베르티나 미술관 소장. Photo courtesy : Albertina, Vienna.

뉘렘베르크의 뒤러
알브레히트 뒤러의 아버지 (Albrecht Dürer the Elder)는 1455년 헝거리에서 독일 뉘렘베르크로 이민 온 금세공 장인이었다. 슬하 18명의 자녀들 가운데 세째로 태어난 화가 뒤러는 어려서 부터 금세공 공방에서 목판과 금속판 세공 기술을 배웠다. 목금속 판화가 뒤러가 최고로 자랑하는 쟝르로 자리잡게 된 것도 이 어린시절부터 쌓은 공방 수련 경험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짐작하게 해 준다.

독일 민담과 전설에 등장하는 마녀, 괴물, 성인의 모험담을 묘사한 소형  판화 그림에서부터 판화작으로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막시밀리안 1세 황제에 바치는 개선문 (The Triumphal Arch for Emperor Maximilian I)』(1559년)을 바라보자면 한치의 헛된 공간이나 미숙함없이 실행시킨 그 치밀완벽한 화면 구성력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 진다.

사업수완까지 갖춘 금속 세공 장인이자  명인 제도공
뒤러는 남북을 가를 것 없이 전유럽을 통틀어 최고 기량을 자랑하는 판화가 겸  제도공이다. 완성된 500여년이 지난 지금, 수차례의 재난, 전쟁, 도난 사건을 뒤로한 채 전세계 유명 소장처와 미술관에 보관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는 뒤러의 회화작품 수60여점, 목금속 판화작 수 350여점과 드로잉 970여점 가량. 뒤러가 독일에서 활동하고 있던 동시대에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는 교회당과 귀족 저택의 실내 장식용도로 쓰일 회회가 미술 쟝르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22_Duerer_Die-Ehrenpforte-Kaiser-Maximilians-I._sm
막시밀리안 1세 황제에 바치는 개선문 목판화. 알베르티나 소장 Photo: Albertina, Vienna.

여간해서 자국 이탈리아 출신이 아니면 칭찬에 인색했던 16세기 르네상스 미술 평론가 죠르죠 바자리 (Giorgio Vasari)도 풍부한 상상력과 판타지를 한껏 발휘한 뒤러의 기량을 칭찬했으니 말이다. 실제로 뒤러가 베니스를 여행하던 동안 베니스인들은 그의 재능이 혹 그렇지 않아도 뛰어난 재능꾼들이 넘치는 이탈리아에서 뒤러의 존재로 인해 화가들 간의 경쟁이 더 심해지지나 않을까를 못내 겁내기도 했다지 않는가.

1506년 베네치아에서 머물던 뒤러가 절친한 친구 피르크하이머 (Willibald Pirckheimer)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는 태양 아래에서 떵떵거리고 있다네. 내 나라는 나를 기생충 취급을 하지만 여기서 나는 거장 취급을 받고 있다구“라며 좋아했다. 공방 장인 취급을 받아오던 뒤러가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는 ‚남다른 천재성을 지닌 창조자’로 특권적인 사회적인 대접을 받았으니 그가 느꼈을 뿌듯한 기분은 능히 짐작이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그도 초상화 [그림:막시밀리안 1세 황제], 자화상 [28세때 자화상, 본문 맨 위의 그림], 교회나 성소의 제단을 장식하는 종교화 [성처녀 마리아와 아기 예수] 주문에 응해 회화 제작도 했으며 그 방면에서도 그의 다재다능했던 기량은 우수하기로 소문이 자자했다. 뒤러는 막시밀리안 1세 오스트리아 황제의 황실 미술가로서의 영광도 얻었다.

막시밀리안 1세는  신성로마제국의 대를 이어 오스트리아를 유럽 대륙의 지배강대국으로 계승하려던 야심의 소유자. 총 195점의 목판에 일일이 조각된 총천연색 판화 인쇄본 『막시밀리안 1세 황제에 바치는 개선문』과 『위대한 개선 열차』 판화/ 수채화 시리즈는 황실의 자존심을 있는대로 드높여주고 그의 정권을 영광화하는데 성공했다. 뒤러가 구사했던 그리스로마 고대 부흥 미술이 지닌 화려한 장식성과 위풍당당 양식은 신성로마제국 황실과 귀족들의 취향에 안성마춤이었기 때문이다.

일화에 따르면 „회화는 완성하기까지 시간이 오래걸리지만 보수가 좋지 못해“라고 뒤러는 곧잘 불평했다고 한다. 실은 그는 회화 그리기 보다는 드로잉과 판화일을 훨씬 더 좋아했다. 실제로 뒤러의 전시회를 둘러보자면 회화 작품 보다는 정교한 손재주와 치밀한 화면 구성력이 돋보이는 판화와 드로잉 작품들에 더 매력이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는 드로잉, 스케치, 목금속판 판화는 회화 제작 준비를 위한 습작에서부터 착상이나 끄적거리기에 이르기까지 더할나위 없는 창조적 즐거움과 영감을 안겨줬다고 한다. 미술사학자 곰브리히의 말대로라면 뒤러가 그토록 즐겼던 „끄적거리기는 명인적 기량과 휴식을 한데 결합한 행위“였음이다 [from E.H. Gombrich, The Uses of Images, 1999].

09_Duerer_Kaiser Maximilian I. (Malerei auf Lindenholz)_sm
막시밀리안 1세 황제 초상 목판에 유화1519년작 빈 미술사박물관 소장 Photo: Kunsthistorischesmuseum, Wien.

드로잉과 판화의 장점은 그 뿐만이 아니다. 특히 판화는 판목이나 동판 한 장으로 똑같은 작품을 무한수로 대량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일반 고객을 상대로한 대량 판매가 가능하다. 그 뿐만이 아니다. 원하는대로 재디자인하거나 책으로 묶어 출판할 수 있으며 아예 판목과 동판 자체를 내다 팔 수도 있다. 웬만한 대작 회화 한 편을 완성하기 위해서 여러 명의 조수를 부려가며 반복수정 작업을 거쳐야했던 화가들과는 다르게 뒤러는 그 솜씨좋은 손으로 펜, 끌, 조각칼을 놀려서 스케치, 목금속판 파기, 인쇄에 이르는 제작 전과정을 손수 혼자서 했다.

뒤러는 대량 인쇄 매체로서의 판화를 재발견했던 것이다. 지금도 그의 판화작품에마다 일일이 새겨져 있는 AD 모노그램 (화가의 이름 알파벳 첫 글자인 A와 D를 따서 만든 결합문자로)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고유 상표 (trademark)나 로고 (logo)와 그 개념이 통하는데가 많다. 그는 자신의 판화 판매 촉진을 위해서 자기 PR에 적극적이었으며, 심지어는 자신의 AD 모노그램이 무단복제로 남용될 것을 우려해 법정에 저작권 보호를 요청하기도 한 저작권법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전쟁, 화재, 소실 등을 거친 오랜 역사끝에 오늘날 과연 뒤러가 생전 제작했던 회화며 드로잉, 판화 작품들의 수가 정확히 얼마나 될는지는 알 길이 없다. 다만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근 400점의 회화 및 드로잉, 판화작마다 AD 모노그램이 새겨져 있다는 점과, 생전 화가가 자신의 수중에 있던 작품들을 철저히 수집 관리했으며 정확한 제작 시기와 설명문까지 곁들여 보관했었다는 사실을 미루어 볼 때, 뒤러는 분명 자신의 천재성과 작품이 후대에 전해져 영향력을 미칠것을 의식했던 것 같다. 실제로 그의 드로잉 인쇄본과 복사본들은 훗날 매너리즘, 바로크 시대의 화가들이 선배 대가 뒤러의 놀라운 기법과 구도를 배우고 본따는데 사용한 표본서로써 그 구실을 톡톡이 했다.

뒤러는 통속미술가?
혹자는 뒤러의 판화와 드로잉 작품들을 일컬어 통속적이라고 평가한다. 실제로 그는 자신의 판화들을 일반 대중을 상대로 시장에 내다 팔 용도로 대량 인쇄했다. 성서 묵시록을 환상적인 장면으로  해석한 이미지들을 비롯해서 이탈리아에서 배워온 고전 누드상과 이교도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따온 모티프들는 뒤러가 즐겨 다룬 주제들이다. 여기에 르네상스 비례법과  원근법은 고딕시대 독일인들이 전에 보지 못한 사실성과 감각적 역동성을 표현해 안성마춤이었다.

17_Duerer_Madonna with a Multitude of Animals_sm
성처녀 마리아와 아기 예수. 1498년경작. Samuel H. Kress Collection, The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Photo courtesy: The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그리스 로마 신화 속에 나타날 법한 괴물들, 근육질의 육중한 남자인물상과 여성상들이 생동감있는 묘사된 판화작품들이 고대 이교 신화의 한 장면을 도식화한 알레고리일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오해일 가능성이 크다. 그같은 작품들은 사실 고딕 후기 독일인들의 사고방식에 널리 깔려있던 중세적 미신 세계와 뒤러의 머리 속에서 맘껏 상상의 나래를 펼친 판다지의 융합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폭풍우, 결투, 납치, 강간의 장면이 담긴 판타지 판화들은 곧잘 에로틱함과 격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효과를 자아내곤 한다. 15-16세기 독일인들의 정신세계를 장악하고 있던 기독교 신앙, 미덕, 공포감의 표현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유명한 미술사학자 파노프스키의 설명처럼, 당시 후기 고딕시대의 독일에서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고전 미술이 아직 전파되지 못한 형편이었기 때문에 르네상스적 형식과 북부 독일의 고딕적 내용이 혼재되어 나타난게다 [Erwin Panofsky, Meaning in the Visual Arts,1974].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회화 이론과 독일의 정신 세계의 결합 – 두 말할 것 없이 뒤러는 그래서 그 둘을 잘 버무린 훌륭한 절충주의의 명인이기도 했다.

자화상 – 천재와 자기망상증
독어권 문화를 포함한 북유럽에서 자화상이라는 미술 쟝르는 유난히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550년 전에 살았던 화가 제도공 알브레히트 뒤러가 자화상을 남기지 않았더라면 그가 어떻게 생긴 사람이었을까 알길이 없었을게다. 공방 기술자에서 창조적인 개인으로서의 의식적 자각을 자화상으로 승화시켰다고 평가되는 뒤러의 자화상이 탄생하기 훨씬 전부터 중세 교회 조각가들과 장인들은 건축물이나 작품 한구석에 숨은 그림찾기처럼 그들의 얼굴을 새겨 넣는 관행을 즐겼다. 뒤러는 여기서 한 발짝 더떼어, 이미 13세라는 어린 나이에 은필 소묘로  『13세때의 자화상』(1484년)을 그려 그 빼어난 손재주로 스스로를 여린 피부와 바스라질 듯한 유년의 미의 소유자로서 표현했다.

06_Duerer_Selbstbildnis als Akt_sm2
『누드 자화상』 1450-55년작, 검정색 잉크로 붓과 펜으로 제작. Stiftung Weimarer Klassik und Kunstsammlungen 소장 Photo courtesy: Stiftung Weimarer Klassik und Kunstsammlungen, Schlossmuseum, Graphische Sammlung, Weimar.

그는 나중에 22세 나던해에 이 그림을 자신의 약혼녀 아그네스에게 주었던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그가 28세 나던 해에 그린 『자화상』(1498년, 스페인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소장)은 오늘날 일반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뒤러의 자화상 회화작품일 것이다. 뒤러는 스스로를 이탈리아 여행과  인문적 학식을 겸비한 신사로서 묘사하는 것으로써 더 이상 일개 손재주나 부리는 공방쟁이가 아니라 신이 내려준 창조력과 사고할 줄 아는 능력을 지닌 예술가임을 소리높여 외치고 있다. 반짝이는 긴 금발 곱슬머리, 현란한 옷차림, 관람객을 향해 직시하는 눈길, 한껏 등을 곧추세운 자신감찬 자세 … 뒤러는 스스로를 젊은 예수가 되살아나 돌아오기나 한듯 카리스마적 분위기를 연출했다.

말년을 치닫던 해인 1522년, 누드의 모습 『누드 자화상』(1450-55)으로 등장한 화가는 ‘멜랑콜리’ 또는 만성적인 우울증 (melancholie)에 시달리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호소하기 위해서 의사에게 보낸 설명 그림이다. „내 손가락이 가리키는 이 자리가 아프답니다“ – 이 드로잉에서 뒤러는 한 손가락을 복부 아래쪽을 가리키고 있는데 이것은 비장이 위치해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비장이 담즙을 지나치게 분비하면 우울증으로 나타난다고 했던 고대 의학 이론에 정통해 있던 뒤러는 이렇게 자가진단을 내렸다. 1528년 57세의 나이로 환각증세와 악몽에 시달리다가 세상을 뜰 때까지 뒤러는 자신이 앓던 우울증세를 천재성 때문이라고 여기면서 고통받는 예수의 도상을 빌은 자화상 소묘를 지속해 그렸다고 알려진다.

알베르티나로 『들토끼』와 『기도하는 손』 보러가기
관람객들은 그들이 보고 배워서 알고 있는 작품을 진품으로 확인하기 위해 미술전시회를 찾곤 한다. 『들토끼』는 알베르티나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뒤러 작품들 가운데 대중에게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작품. 이번 전시기간 동안 알베르티나 미술관은 개별적인 『들토끼』 관람 경험을 원하는 관객들을 위해서 전화로 특수 관람 예약까지 접수받는 행사까지 병행하면서 관람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Albrecht_Durer_The_Praying_Hands_300_captioned
『기도하는 손』, 1508년작 빈 알베르티나 소장. Photo: Albertina, Vienna.

자연 숭배자이기도 했던 뒤러는 『들토끼』 외에도 수많은 풍경화와 동물화를 수채화로 그려서 자연의 그 천연의 아름다움과 비례를 관찰하고 기록했다. 아내 아그네스 프라이 (Agnes Frey)와 결혼한 해인 1494년, 뒤러는 이탈리아 여행 도중 들른 남부 티롤 지방과 인스브룩 성을 수채화로 담아냈다.

전세계 기독교인들이 늘 머리와 가슴 속에 기억하고 있는 『기도하는 손』 스케치는 팔이나 어깨 등 다른 신체부위가 일체 제거된채 한데 모은 두 손만이 공중에 떠 있는 특유의 이미지 때문에 보는이에게 유난히 깊은 인상을 남기는 작품이다.

하지만 이 작품이 이 모양대로 완성된 작품이라고 생각하면 그 또한 오해이다. 『기도하는 손』은 본래 프랑크푸르트의 한 돈 많은 미술후원자 야콥 헬러 (Jacob Heller)의 주문을 받아 그린 교회제단장식용으로 쓰일 그림 예비 스케치 18점중 하나였다. 뒤러는 헬러가 재료비와 수고비 지급에 인색하다는 이유로 떠들썩한 말타툼을 벌인 끝에 결국 이 프로젝트를 포기했다는 재미있는 일화를 남겼고 그의 『기도하는 손』은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미완성작의 하나로 남아있다.

알베르티나 미술관의 컬렉션 뒤러의 그래픽 작품을 대거 소장하고 있는 알베르티나 미술관과 알브레히트 뒤러 사이의 역사는 남다르다. 작센-테셴 공국의 알베르트 황태자 부부 (합스부르크 제국 17세기 마리아-테레지아 여왕의 아들 부부)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로부터 물려받은 뒤러의 드로잉 및 수채화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던 이 컬렉션은 20세기 양차 대전을 겪으면서 다수 유실되거나 도난당하는 수난을 겪었다. 제3제국 시절 나치 지도자 히틀러는 뒤러를 깊이 흠모해서 뒤러의 그래픽 작품 20여점을 훔쳐 자신의 개인 미술 컬렉션 보관함에 몰래 숨겨두기도 했다.

현재는 『들토끼』 『기도하는 손』 『인스브룩 거리』 수채화 등 140여 점의 핵심 드로잉과 수채화와 판화 전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지난 1971년 뒤러의 500회 생일을 기념해 올려졌던 전시후, 올 [2003년] 가을 빈에서 열리는 뒤러 컬렉션전은 가장 규모가 큰 종합전이어서 일반인들이 뒤러의 진작들을 직접 접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되고 있다. 『알브레히트 뒤러』 전은 5월 9일부터 11월 30일까지 계속된다.

  • 이 글은 본래 『오뜨 (HAUTE)』 지 2003년 10월호 Art News 연재 컬럼에 실렸던 글임을 밝혀둡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